Beancount에서 부동산 거래 모델링
· 약 4분
부동산 거래는 한 가정의 평생 동안 가장 큰 재무 활동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Beancount에서 부동산을 모델링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저는 부동산을 자산으로 보고, 주택의 가치 상승을 실현되지 않은 이익으로 처리합니다. 또한 모기지는 부채로 모델링하고, 이자를 비용으로 간주합니다.
예를 들어, A씨가 2020년 1월 1일에 캘리포니아 주 XYZ 시 123 ABC 스트리트에 위치한 고급 주택을 100만 달러에 구매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금리는 3.0%, 계약금은 20%, 대출금액은 800,000 달러입니다.
항목 | 금액 |
---|---|
대출 금액 | 800,000 |
금리 | 3% |
대출 기간 | 30년 |
대출 총 비용 | 1,478,219.62 |
월 상환액 | 4,106.17 |
주택 보험 | 연 1,300 달러 (총 39,000) |
재산세 | 연 7,500 달러 (총 225,000) |
대출 상환 완료 시점 | 2049년 12월 |
총 이자 지급액 | 414,219.62 |
계정 생성
먼저 주택을 자산(Asset)으로 취급합니다. 자산으로 등록되므로 단위를 지정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단위 수량을 1로 두며, 여러 채가 있을 경우 각각 별도의 자산 계정을 만들게 됩니다. 즉, 한 채는 하나의 자산이며, 이 자산의 특별한 단위는 값이 1일 수밖에 없습니다.
2019-12-31 commodity HOUSE.ABC
name: "123 ABC Street, XYZ City, CA, 12345"
2019-12-31 open Assets:Property:US:CA:123ABC HOUSE.ABC
2019-12-31 open Liabilities:Bank:US:SomeBank:Mortgage:Loan USD
첫 번째 줄에서 주택을 나타내는 상품 단위를 정의했습니다. 네 번째 줄에서는 앞서 정의한 상품 단위를 보유하는 자산 계정을 만들었고, 다섯 번째 줄에서는 대출 은행을 위한 부채 계정을 정의했습니다. 부채이므로 Liabilities 카테고리에 속합니다.